유쾌한반란 / Joyful Rebellion
Your Donation Supports
우리는 실패가 끝이 아니라, 성장의 또 다른 이름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유쾌한반란은 누구나 자신의 기회를 발견하고,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며, 자신만의 색으로 도전할 수 있는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구멍뒤주 프로젝트’는 꿈을 향해 첫걸음을 내딛는 청소년들에게 매달 약 50만 원(미화 350달러)의 도전 장학금을 지원합니다. 어떤 미래의 스토리텔러는 이 장학금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첫 책을 출간했고, 또 다른 미래의 바이올리니스트는 전문 레슨을 받으며 무대라는 오랜 꿈에 한 발짝 더 다가갔습니다. 이 장학금은 단순한 지원금을 넘어, “너의 도전은 충분히 가치 있다”는 진심 어린 응원의 메시지입니다.
‘챠챠챠 프로그램’은 청년이 스스로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직접 실행해볼 수 있도록 프로젝트 지원금과 멘토링을 제공합니다. ADHD를 가진 청년들은 인식개선 캠페인을 기획해 편견을 바꾸고자 나섰으며, 또 다른 팀은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트라우마 장례식’을 통해 상처를 마주하며 치유의 이야기를 세상과 나누었습니다.
작은 용기에서 시작된 이 시도들은 점차 세상을 바꾸는 희망의 움직임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We believe failure is not the end, but another name for growth. Together with Joyful Rebellion, we’re building a society where everyone can discover their own opportunities, rise again after setbacks, and find the courage to pursue their unique path.
Through the Hope Chest Project, we provide monthly Challenge Scholarships (USD 350) to underprivileged teenagers taking their first steps toward their dreams. One aspiring storyteller used her scholarship to publish her first book — a collection of stories drawn from her own struggles and hopes. Another, a young violinist, used the support to take professional lessons and move closer to her lifelong dream of performing on stage. For these dreamers, the scholarship is more than financial aid — it’s a message of encouragement that says, “Your challenge is worth it.”
The ChaChaCha Program (Challenge–Chance–Change) offers funding and mentorship that help young people discover what they truly want to do and bring their ideas to life. One group of youth with ADHD organized a campaign to challenge stereotypes and raise awareness in their communities. Another team produced a documentary on overcoming trauma, holding a symbolic “Funeral for Trauma” to face their pain and share healing stories with the world.
Each of these acts of courage begins small — but together, they grow into a powerful movement of hope.
보육원 보호 종료 청년들의 자서전 발간
• 예술을 활용한 아동 성교육 키트 개발
• 반려동물 상실 치유를 위한 펫로스 상담·치료 프로그램 개발
•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트라우마 장례식’ 다큐멘터리 제작
• ADHD 당사자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 진행